본문 바로가기
*우리시를日語로*

인류의 과거사 / 정채균 --- 일역 : 李觀衡

by 일본어강사 2024. 5. 4.

인류의 과거사 / 정채균 --- 일역 : 李觀衡

 

유인원으로 분류하여 화석을 연구한 결과

원시로부터 진화 과정을 거쳐

인간이 되었다는 학설과

태초에 조물주가 흙으로 사람을 만들어

만물의 우두머리로 삼았다는 창조론이 있다

 

과학 문명의 발전도 생명체는 만들 수 없고

삼라만상 섭리는 오묘하기만 한데

원숭이보다는 아담 족보가 더 낫지 않을까

 

화가의 섬세한 붓끝은 중간 고리가 되어

새로운 역사의 근원을 탄생시키고 있으니...

 

----------------------------------

 

人類過去史

 

人似猿分類化石研究した結果

原始から進化過程

人間になったとの学説

太初造物主

万物親分にしたとの創造論がある

 

科学文明発展生命体れず

森羅万象摂理奥深いけれど

よりはアダム系図るんじゃないか

 

画家繊細筆先になり

しい歴史根源誕生させてるから....

 

-----------------------------------

 

인류의 과거사

人類(じんるい)過去史(かこし)

 

유인원으로 분류하여 화석을 연구한 결과

人似猿(ひとにざる)分類(ぶんるい)化石(かせき)研究(けんきゅう)した結果(けっか)

원시로부터 진화 과정을 거쳐

原始(げんし)から進化過程(しんかかてい)()

인간이 되었다는 학설과

人間(にんげん)になったとの学説(がくせつ)

태초에 조물주가 흙으로 사람을 만들어

太初(たいしょ)造物主(ぞうぶつぬし)(つち)(ひと)(つく)

만물의 우두머리로 삼았다는 창조론이 있다

万物(ばんぶつ)親分(おやぶん)にしたとの創造論(そうぞうろん)ある

 

과학 문명의 발전도 생명체는 만들 수 없고

科学文明(かがくぶんめい)発展(はってん)生命体(せいめいたい)(つく)れず

삼라만상 섭리는 오묘하기만 한데

森羅万象摂理(しんらばんしょうせつり)奥深(おくぶか)けれど

원숭이보다는 아담 족보가 더 낫지 않을까

(さる)よりはアダム系図(けいず)(ほう)()(まさ)るんじゃないか

 

화가의 섬세한 붓끝은 중간 고리가 되어

画家(がか)繊細(せんさい)筆先(ふでさき)(あいだ)()になり

새로운 역사의 근원을 탄생시키고 있으니...

(あたら)しい歴史(れきし)根源(こんげん)誕生(たんじょう)させてるから....

728x90